현재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주식 저평가) 현상으로 인해 미국 시장으로 자금이 움직이는 '투자 이민'이 늘고 있습니다.
이로인해 배당 투자도 한국 상장사를 담은 토종 상품보다 미국 종목을 담은 상품에 대한 수요가 높다고 합니다.
미국 배당주 EFT의 인기 증가
12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에 따르면 서학개미들은 소위 '슈드'라고 불리는 미국 우량 배당주인
- 슈와브 미국 디비던드 에쿼트(SCHD)
를 지난해 3억 9214만 달러(약 5205억 원)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레버리지 상품을 제외하면, SCHD ETF가 연중 서학개미 순매수 1위이다.
주로 기술, 성장주를 사 모으던 서학개미들은 지난 2022년부터 해당 상품을 1억 4829만 달러(약 1968억 원) 사들였다.
올해 들어서도 3115만 달
러(약 414억 원) 순매수세를 보이고 있다.
SCHD ETF
- 브로드컴
- 머크
- 애브비
- 암젠
- 홈디포
- 버라이즌
- 코카콜라
- 펩시코
- 블랙스톤
등 10년 이상 배당금을 지급해 온 우량주들을 대거 편입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연간 배당수익률은 3.7%(분기 배당)로 높진 않지만, 연평균 배당성장률이 13%에 달하는 제 장점이다.
한국판 SCHD
현재 국내 증시에선 미래에셋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신한자산운용이 SCHD ETF와 포트폴리오가 동일한 미국배당 다운존스 ETF를 월배당 방식으로 출시해 운용 중이다. 하지만 지난 1년 동안 한국 토종 배당주들을 담은 배당 ETF는 개인투자자 순매수 순위 50위권에 포함되지 못했다.
전문가들의 생각
전문가들은 국내 상장사들도 일시적인 고배당금 지급에 매몰되기보다 꾸준한 배당 성장이 가능하도록 주주환원 정책을 가다듬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단순 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의 경우 배당락에 따른 주가 하락이 큽니다. 배당금을 아무리 많이 주더라도 주가가
우상향 하지 못하면 투자할 이유가 없어진다.
또 미래에 현재의 배당수익률이 유지되거나 지속 성장한다고 보장하기도 어렵다.
대표적인 'TIGER MKF배당귀족'은?
- GS
- 한화
- LS
- 현대글로비스
- KT
등 이 꾸준한 이익을 내면서 배당을 지속 늘려나갈 것으로 기대되는 30개의 대표 종목들이다.
오늘도 긴 포스팅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읽고 도움이 되면 행복할 것 같습니다.